교과목소개
물리치료과 교과목소개
물리치료과 교과목소개에 대한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.
연번 | 이수구분 | NCS | 교과목 | 교과목 개요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국문 | 영문 | |||||
1 | 교양 선택 | 인성 및 진로 상담 | ||||
2 | 교양 선택 | 진로 탐색 | Career search | 직업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, 자기 자신과 다양한 직업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단계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하는 경험을 제공하며,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을 배양한다. | ||
3 | 교양 선택 | 진로 설계 | Career Design | 자신의 역량과 가치관을 파악하여 진로설계 계획을 수립하며, 취업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적 실행과 점검을 통해 성공적인 취업을 지향한다. | ||
4 | 교양 선택 | v | 자기개발과 의사소통 | |||
5 | 교양 선택 | v | 대인관계와 조직이해 | |||
6 | 교양 선택 | 생활체육 | Sport for all | 체육의 개념과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함으로써 건강생활 실천 능력을 배양한다. | ||
7 | 교양 선택 | 소호청년 창업 | ||||
8 | 전공선택 | 해부학 및 실습 I | Anatomy & Practice I | 인체의 각부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인 골격계, 관절계, 근육계, 호흡계, 순환기계, 소화기계, 비뇨기계, 신경계, 감각기계, 내분비계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와 위치 및 기능 등을 교육한다. 근육, 관절, 인대등의 종류 및 기능에 대해서 학습한다. | ||
9 | 전공선택 | 해부학 및 실습 II | Anatomy & Practice II | 인체의 각부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인 골격계, 관절계, 근육계, 호흡계, 순환기계, 소화기계, 비뇨기계, 신경계, 감각기계, 내분비계에 대한 해부학적 구조와 위치 및 기능 등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질환에 대해서 학습한다. | ||
10 | 전공선택 | 해부생리학 | Anatomy and Physiology | 인체의 구조와 기능 및 세포내의 물질 이동, 체액생리, 조직 간의 흥분전달, 근육생리, 혈액생리, 순환생리, 호흡, 운동 생리 등 사람의 신진대사에 관련된 사항을 강의한다. | ||
11 | 전공선택 | v | 기능해부학 및 실습 | Functional Anatomy & Practice | 인체에 대한 운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에 필요한 근육, 관절, 인대, 신경 등의 기능 및 작용을 정확히 이해하며 인체 제 기능을 다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반 사항을 해부학적 측면에서 강의한다. | |
12 | 전공선택 | 병리학 | Pathology | 모든 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고 원인에 따른 치료법을 소개하는 기초의학분야로서 질병의 정의, 염증의 병리, 조직의 병리 그리고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는 균류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. | ||
13 | 전공선택 | v | 물리치료학개론 | Introduction to Physical Therapy | 물리치료학 개론은 물리치료 전반에 걸친 내용을 소개하는 입문과정으로 물리치료의 역사, 물리치료사의 직업윤리, 광선치료개요, 전기치료개요, 수치료개요, 운동치료개요, 각종 물리치료 관련 기구들에 대한 소개 및 강의가 실시된다. | |
14 | 전공선택 | v | 임상운동학 I | Clinical Kinesiology I | 역학의 기본 개념, 신체의 지레대 원리, 신체의 관절계, 골격근의 구조와 활동, 고유수용기와 척수 반사, 상지관절 다룬다. 운동생리학, 임상운동학, 관절생리학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한다. | |
15 | 전공선택 | v | 임상운동학 II | Clinical Kinesiology II | 역학의 기본 개념, 신체의 지레대 원리, 신체의 관절계, 골격근의 구조와 활동, 고유수용기와 척수 반사,하지관절의 임상운동학을 다룬다. 운동생리학, 임상운동학, 관절생리학 등에 관한 내용을 학습한다. | |
16 | 전공선택 | v | 운동치료학 기초 실습 | Therapeutic Exercise Base Practice | 여러 가지 운동요소를 이용하여 근골격계나 신경학적 손상 환자의 치료방법을 소개하는 과목이다. 이 과정에서는 운동치료학의 기본개념과 운동치료의 종류를 설명하고, 환자에게 적용하는 기본적인 치료기술을 학습한다. | |
17 | 전공선택 | v | 근골격운동치료학 및 실습 | Musculoskeletal Therapeutic Exercise & Practice | 골절, 탈구, 관절, 뼈 변형, 뼈 병변, 관절 병변, 물렁조직 병변, 근육질환, 요통, 팔다리, 척추관절 등에 대한 이학적 검사 및 평가를 바탕으로 이들 병변이나 손상에 대한 정상적인 기능 회복을 위한 다양한 운동치료법들이 소개되고 이에 대한 치료 실습을 학습한다. | |
18 | 전공선택 | v | 신경운동치료학 및 실습 | Neulological Therapeutic Exercise & Practice |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여러 질환을 평가, 치료하는 것으로, 질환의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방법과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는 능력을 높여,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. | |
19 | 전공선택 | v | 근골격물리치료중재학 및 실습 | Musculoskelet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& Practice |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, 증상, 진단 및 평가하여 의학적 치료과정과 물리치료적 접근 방법을 학습함으로써,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치료법을 학습한다. | |
20 | 전공선택 | v | 신경물리치료중재학 및 실습 |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& Practice | 신경계 질환의 원인, 증상, 진단 및 평가하여 의학적 치료과정과 물맃료적 접근 방법을 학습함으로써, 임상에서 적용되는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하여 치료 계획을 학습한다. | |
21 | 전공선택 | v | 신경 진단 및 평가학 | Dioagnosis & Evaluation for Neurological |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 장애를 가진 신경계 질환 환자를 진단하고 물리치료 계획 수립하기 위하여 질병, 손상, 기능장애, 마비상태등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. | |
22 | 전공선택 | v | 근골격 진단 및 평가학 | Diagnosis & Evaluation for Musculoskeletal | 척추와 사지의 근골겨계 질환 환자를 진단하고, 질병, 손상, 기능장애 등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. | |
23 | 전공선택 | v | 측정 및 평가학 실습 |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Practice | 환자를 평가할 수 있는 자세, 관절가동범위, 근력, 감각 및 지각, 협조성, 운동발달, 호흡기능, 생체징후 등의 여러 가지 평가기법을 임상에서 실제적인 환자치료 및 진단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. | |
24 | 전공선택 | v | 전기 및 광선치료학 실습 | Electrophoto therapy & Practice | 다양한 전기기구(적외선⋅자외선, 저주파 , 극초단파, 초단파, 초음파. 전기진단, 간섭파치료,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, S.S.P치료법 등)를 이용하여 근육계,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는 학습한다. | |
25 | 전공선택 | v | 수치료학 및 실습 | Hydrotherapy & Practice | 물의 기계적 성질이나 물이 함유하고 있는 온열 및 한냉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물리치료의 하나이다. 수치료학에서는 회전욕, 하버드탱크 등과 같은 기계적 성질을 이용한 치료와 온천요법, 완전침수욕 등과 가은 물의 열 특성을 이용한 수치료에 대해 학습한다. | |
26 | 전공선택 | v | 보장구 및 의지학 | Orthotics & Prostheics | 보조기는 신체기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인체의 외부에 부착시키는 기구이며, 의수족은 팔이나 다리 일부나 전부가 결손 된 지절의 기능을 대신하는 기구이다. 이 과목에서는 보조기와 의수족의 종류를 중심으로 적응증과 사용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 | |
27 | 전공선택 | v | 정형물리치료학 및 실습 | Orthopedic Phsycal Therapy Practice | 관절 및 근골격계의 질병을 맨손으로 치료하는 물리치료 특수 기법으로 일반 관절학, 관절운동역학, 관절가동기술 등을 적용한 치료법을 학습한다. | |
28 | 전공선택 | 공중보건학 | Public Health) | 지역사회의 환경위생 향상, 전염병 관리,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, 질병의 조기 발견과 예방적 치료를 할 수 있는 능력과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하는 학습을 한다. | ||
29 | 전공선택 | 보건의료법규 | Health & Medical Law | 의료분야의 법령에 대한 폭넓은 지식습득과 보건의료인으로서의 자질 향상을 위해 보건의료에 관한 법⋅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폭넓게 학습한다. | ||
30 | 전공선택 | v | 심폐물리치료진단 및 중재학 | Physical Therapy Dignostics for Cardiopulmonary and Intervention | 심혈관⋅심호흡계의 정상적 생리 및 병태생리와 운동에 대한 심호흡계의 반응을 습득하여 심장과 폐 질환의 환자 평가, 의학적 치료진행과 물리치료 수행에 대한 것을 학습한다. | |
31 | 전공선택 | 임상의사결정 | Clinical Decision Making for Physical Therapy | 임상의사결정에 대해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검사 및 평가를 습득한다. 그리고 의사결정 물리치료기록양식과 기록방법을 이해하고 측정 및 평가도구들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어떤 의사 결정을 해야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고 대안들이 개발 및 기준결정을 할 수 있는 보건의료⋅전문 직업인으로써의 자질을 학습한다. | ||
32 | 전공선택 | 지역사회중심물리치료 | Community Based Physical Therapy | 지역사회물리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이해하고 환자의 재활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자원 즉 장애인과 그의 가족 및 지역사회의 인적, 물적 자원을 가동,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필요한 물리치료사의 능력과 역할 등의 업무수행능력을 학습을 한다. | ||
33 | 전공선택 | v | 소아물리치료학 | Physical Therapy for pediatric | 소아를 대상으로 발생하는 신경학적 질환의 원인, 문제점, 물리치료방법에 대해 강의와 실습을 한다. | |
34 | 전공선택 | v | 피부물리치료진단 및 중재학 | Physical Therapy Dignostics for Integumentary and Inervention | 다양한 피부계질환을 해부생리학적 구조와 기능을 학습하고 피부계 질환을 물리 | |
35 | 전공선택 | 의학용어 | Medical Terminology | 물리치료학 전공서적을 쉽게 이해하여 물리치료의 새로운 이론과 최근 기술을 스스로 습득할 수 있는 능력과 일반 의학용어에 필수적인 용어를 학습한다. | ||
36 | 전공선택 | 신경과학 | Neuroscience | 신경해부학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기초로 하여 감각신경계, 운동신경계, 자율신경계, 그리고 이들을 통합하는 신경생리학적 현상들에 대하여 연구하고, 각 기관의 장애 시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해 학습한다. | ||
37 | 전공선택 | 정형외과학 | Orthopedics | 정형외과적인 환자를 질병의 특성, 징후, 증상, 진단을 하고 또한 특수 검사 등을 통하여 정형외과적인 장애를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는 이론을 학습한다. | ||
38 | 전공선택 | v | 일상생활동작 | Activities of Daily Living | 환자 그리고 장애인에게 일상생활의 삶에서 가장 필요한 동작들을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 스스로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일상생활동작 훈련에 대한 학습한다. | |
39 | 전공선택 | v | 연구방법론 | Research Methodology | 연구방법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, 역학적인 조사 및 방법을 연구하여 보건 분야에 사용되는 통계프로그램으로 자료 분석과 결과를 해석하고 통계를 할 수 있는 학습을 한다. | |
40 | 전공필수 | 임상실습I | Clinical Pracrtice I | 학습한 물리치료환자를 임상병원에서 실습을 통하여 실제 환자 치료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. | ||
41 | 전공필수 | 임상실습 II | Clinical Pracrtice II | 학습한 물리치료환자를 임상병원에서 실습을 통하여 실제 환자 치료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. |